본문 바로가기

한국어/대한민국 소식

과학기술 R&D에 6조 3214억 원 투자… ‘현장중심·AI 대전환’에 집중

반응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연구개발(R&D)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며 지난해보다 1조 1047억 원이 증가한 6조 3214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투자 계획은 현장 중심 연구생태계 조성과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과학기술 분야: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

1. 3대 게임체인저 기술 육성

과기정통부는 다음 세 가지 주요 기술 분야에 집중합니다:

  • 바이오: 차세대 정밀의료와 융합연구 강화.
  • AI 반도체: 첨단 하드웨어 기술 개발로 AI 역량 증대.
  • 양자 기술: 양자 컴퓨팅과 양자 센싱 등 미래 핵심 기술 투자.

2. 연구자 중심 연구 생태계 조성

  • 기초연구 지원: 국가적 필요에 맞춘 전략적 연구와 혁신적 연구 풍토 조성.
  • 젊은 연구자 지원: 이공계 대학원생의 안정적 연구환경을 위해 연구생활장려금 도입.
  • 글로벌 인재 유치: 해외 우수 인재의 정착을 돕고 국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

3. 기술 사업화와 R&D 성과 확산

  •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연구: 에너지 전환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R&D 투자.
  • 기술사업화 지원: 중대형 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사업화 전문 인력을 양성.
  • 사업화 생태계 조성: R&D 성과를 산업화로 연결하는 지원 강화.

ICT 분야: 디지털 혁신과 인재 양성

1. AI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ICT 분야는 AI와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 국산 AI 반도체: AI 연구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술과 AGI(범용인공지능) 탐구 과제.
  • 양자 암호통신과 센싱: 양자 기술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 6G 네트워크 및 사이버보안: 차세대 통신 인프라와 국민 안전을 위한 보안 기술 강화.

2. 전략 인재 양성

  • AI 및 반도체 분야 전문가 육성: 산·학 연계를 통해 실전형 고급 인재 양성.
  • 지역 인재 육성: 학사·석사 연계 프로그램 및 지역 기반 디지털 인재 개발.

3. 디지털 혁신 기술

  • 6G 표준 기술: 저궤도 위성통신과 네트워크 표준화.
  • 실감 콘텐츠 기술: 미디어 프로세스 혁신과 감각인지 한계 극복.

R&D 제도 개선

과기정통부는 R&D 사업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을 발표했습니다:

  • 사업 코드화: 유형별 맞춤형 기획·평가 체계 구축.
  • R&D 사업구조 체계화: 예타(예비타당성조사) 폐지와 연계된 효율적 사업 운영.
  • 글로벌 R&D 협력: 범부처 협의체 구성으로 글로벌 프로젝트 체계적 관리.

결론

이번 R&D 투자 계획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혁신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바이오, AI 반도체, 양자 기술 같은 게임체인저 기술 육성과 연구 생태계 조성, 기술 사업화 지원을 통해 한국은 글로벌 기술 리더로 자리매김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