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해외건설 누적 수주가 반도체와 자동차에 이어 세 번째로 1조 달러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 실적이 371억 1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2016년 이후 최대 수주액을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1.4% 증가한 수치로, 해외건설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해외건설, 59년 만에 이룬 쾌거
1965년 현대건설이 태국의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에 첫발을 내디딘 이후, 대한민국의 해외건설 산업은 꾸준히 성장해왔습니다. 이번 1조 달러 달성은 59년 만에 이뤄진 성과로, 반도체와 자동차에 이어 수출·수주 분야에서 세 번째로 이룬 대기록입니다.
주요 성과
- 2023년 해외건설 수주액: 371억 1000만 달러
- 누적 수주액: 1조 9억 달러
- 최근 3년 성장세: 2021년 306억 달러, 2022년 310억 달러, 2023년 333억 달러로 지속 증가
지역 다변화와 산업 구조 변화
1. 지역 다변화
과거 중동과 아시아 지역에 집중했던 해외건설은 최근 북미, 유럽, 태평양 지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 최근 3년 기준 주요 수주국: 사우디아라비아(24.5%), 미국(16.9%), 카타르(6.4%), 인도네시아(4.8%)
- 2023년 지역별 수주 실적:
- 중동: 184억 9000만 달러 (49.8%)
- 아시아: 71억 1000만 달러 (19.2%)
- 유럽: 50억 5000만 달러 (13.6%)
2. 산업 분야 변화
1960~1990년대 초반까지는 토목과 건축 분야가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플랜트와 산업설비 분야가 52.4%**를 차지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엔지니어링과 용역 분야의 진출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의 역할 강화
1. 투자개발사업 확대
정부의 지원과 기업들의 관심이 결합되어 투자개발사업 실적이 전년 대비 3.5배 증가한 51억 7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체 수주의 13.9%에 해당하며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 주요 지원 정책:
- KIND(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설립
- PIS 펀드 조성
2. 주요 기업과 프로젝트
- 누적 수주 상위 기업: 현대건설(14.5%), 삼성물산(9.2%), 삼성E&A(9.0%)
- 2023년 주요 프로젝트:
-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젝트 (73억 달러)
- UAE 바라카 원전 (191억 3000만 달러)
-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80억 3000만 달러)
세계 속의 한국 건설
대한민국은 2012년 이후 건설수지 세계 1~2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상수지 대비 건설수지 비중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2023년 기준 대한민국은 경상수지 흑자 확대에 가장 크게 기여한 국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건설수지 주요 지표
- 경상수지 대비 건설수지 비중: 13%
- 명목 GDP 대비 건설수지 비율: 0.24%
결론: 미래를 향한 도약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우리 기업들이 전통적 건설산업을 넘어 도시개발, 철도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모색하고 있다"며, K-도시 및 K-철도와 같은 투자개발사업을 통해 해외건설 2조 달러 시대를 이끌겠다고 밝혔습니다. 대한민국의 해외건설은 국가 경제 성장의 중요한 축으로, 앞으로도 글로벌 시장에서 그 입지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한국어 > 대한민국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산업통상자원부 주요 업무 계획: 위기를 극복하고 도약의 발판 마련 (0) | 2025.01.12 |
---|---|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으로 더 촘촘한 복지망 구축! 2025년 주요 업무계획 (0) | 2025.01.12 |
K-원전 르네상스 시작: 신한울 프로젝트가 여는 미래 (0) | 2025.01.12 |
2025년부터 시행되는 주요 법령: 알면 도움 되는 정보 총정리 (0) | 2025.01.12 |
과학기술 R&D에 6조 3214억 원 투자… ‘현장중심·AI 대전환’에 집중 (0) | 2025.01.11 |
한-폴란드 방산협력: 방산수출은 정상 진행 중 (0) | 2025.01.11 |
2025년도 공무원 보수 3% 인상! 주요 변경 사항 정리 (0) | 2025.01.10 |
2025년도 국가공무원 공채 직급별 선발 인원 및 일정 안내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