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3) 썸네일형 리스트형 The Global Rise of K-Food: Breaking Records with Ramen and Rice-Based Products In 2023, K-Food+ exports from South Korea reached an all-time high of $13 billion, comprising $9.98 billion in agri-food exports and $3.05 billion in agricultural-related industries. Led by iconic products like ramen, rice-based goods, and kimchi, South Korea continues to strengthen its position as a global powerhouse in agricultural exports.1. Ramen: A Global SensationRamen exports surged to an.. K-Food의 글로벌 성장: 라면과 쌀가공식품이 이끄는 대한민국 농식품 수출 신기록 지난해 대한민국의 케이-푸드(K-Food+) 수출은 총 130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 중 농식품 수출은 99억 8000만 달러, 전후방산업은 30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되었습니다. 라면, 쌀가공식품, 김치 등 대표적인 한국 농식품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으며, 대한민국 농식품 산업의 위상을 높였습니다.1. 라면, 글로벌 시장을 사로잡다라면은 2023년 12억 5000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년 대비 31.1% 성장했습니다. 특히, 드라마와 영화 등 한류 콘텐츠를 통해 라면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았고, 미국, 유럽, 중남미 등에서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미국 시장: 대형 유통매장 입점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열풍으로 70% 이상의 수출 증가.중국 시장: 티몰과 징동 같.. Two Nutrient-Packed Winter Seafood Delights: Yellowtail and Trout Winter is the perfect season to enjoy the freshest and most flavorful seafood. Among the winter treasures, yellowtail and trout stand out as nutrient-rich and delicious options. Let’s explore these two seafood delicacies, their health benefits, seasonal highlights, and the best ways to prepare them.1. Yellowtail: A Wintertime FavoriteWhat is Yellowtail?Yellowtail, also known as Japanese amberjac.. 겨울철 필수 수산물: 방어와 송어의 매력과 활용법 겨울은 해산물이 가장 맛있고 신선한 계절 중 하나입니다. 특히 1월에는 방어와 송어가 제철을 맞아 영양과 맛이 풍부한 최고의 수산물로 꼽힙니다. 이번 글에서는 방어와 송어의 기본 정보, 효능, 제철 계절, 그리고 추천 요리법까지 소개합니다.1. 겨울철 진미, 방어방어란?방어는 차가운 바다에서 더 살이 오르는 특징을 가진 생선입니다. 크기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데, 작은 것은 '참조기', 중간 크기는 '방어', 큰 것은 '대방어'라고 불립니다. 날씨가 추워질수록 지방이 풍부해지고 살이 탄탄해져 겨울철에 가장 맛있습니다.방어의 효능불포화지방산: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는 오메가-3가 풍부합니다.비타민D: 뼈 건강과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입니다.단백질: 근육을 강화하고 체력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방어의 제철방어.. Digital Foreigner Registration Card Launched: A New Era for Expats in South Korea Starting January 10, 2025, South Korea will introduce a digital foreigner registration card (mobile foreigner registration card), marking a significant step toward digital innovation and inclusivity for foreign residents. This new system will provide the same legal validity as the physical foreigner registration card, streamlining administrative processes and enhancing convenience for registered..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발급 개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신분증 2025년 1월 10일부터 외국인 등록증도 디지털화되며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이 공식적으로 발급됩니다. 이 혁신적인 변화는 한국에 거주하는 14세 이상 등록 외국인들에게 새로운 편리함을 제공하며, 기존 실물 외국인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의 특징, 발급 방법, 그리고 외국인등록증 관련 불편함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다룹니다.1.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의 주요 특징디지털 신분증의 등장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은 정부가 추진한 모바일 신분증(모바일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정책의 연장선에서 개발되었습니다. 본인 소유의 스마트폰에 발급되며, 블록체인 및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어 높은 보안성을 자랑합니다.다양한 활용 범위오프라인: 관공서, 병원, 편의점 등 신원 확인.. Korea’s Oyster Industry Sets Sights on Global Leadership: From Aquaculture Innovation to Record Exports South Korea is charting a bold path to make oysters its next signature export product, following the global success of Korean seaweed (gim). With plans to establish specialized oyster aquaculture harbors and production hubs, the government aims to double oyster exports to $160 million by 2030, targeting the European market with premium shell-on oysters and value-added processed products.1. Korea.. 한국 굴, 세계로 뻗어가다: 굴 산업의 혁신과 글로벌 진출 전략 굴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이들이 즐겨 먹는 대표적인 수산물입니다. 우리나라 해양수산부는 김에 이어 굴을 세계 1위 수출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1억 6000만 달러 수출을 목표로 세우고, 굴 산업을 자동화·스마트화하는 다양한 혁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굴 산업 발전 계획, 굴의 효능, 역사, 그리고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굴의 가능성을 살펴보겠습니다.1. 굴 산업 혁신: 생산부터 가공까지 스마트화굴은 전 세계적으로 약 6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한국은 현재 세계 3위의 굴 수출국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굴 생산량을 현재 30만 톤에서 40만 톤으로 늘리고, 굴 수출액을 두 배로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주요 계획굴 양식단지 및 전용어항..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