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대한민국 소식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조사 확대! 소비자 안전과 선택권 사이에서

반응형

 

2025년 1월 15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조사를 대폭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조사했던 450개 제품에서 올해는 1,000여 개 제품으로 조사 대상을 늘렸으며, 국내 유통 제품 4,700여 개도 조사할 예정입니다.

이번 정책은 소비자 안전을 위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지만, 과거 해외직구 규제안이 철회됐던 상황을 떠올리며 논란이 예상됩니다.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조사 확대

지난해 해외직구 규제안, 철회까지의 과정

2024년 5월, 정부는 KC 인증을 받지 않은 80개 품목의 해외직구 제품을 금지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조치는 소비자 안전을 강화하고 위해 제품 유입을 막기 위해 도입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정책은 소비자와 업계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해외직구는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제품군으로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소비자의 반발
    많은 소비자들은 해외직구를 통해 국내에서는 구하기 어려운 제품을 저렴하게 구매해 왔습니다. 규제안은 이러한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한다는 이유로 비판받았습니다.
  • 소상공인과 개인 구매자의 피해
    국내에서 해외 제품을 재판매하거나 소규모로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에게도 큰 타격이 예상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부정적인 여론은 정책 철회로 이어졌습니다. 정책 발표 후 불과 3일 만에 규제안이 철회되었고, 당시 정부는 소비자들과 업계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25년 안전성 조사 확대, 무엇이 달라졌나?

이번에 발표된 2025년 제품 안전성 조사는 과거 규제안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1. 해외직구 제품 1,000여 개 조사
    • 지난해보다 2배 이상 확대된 조사를 통해, 위해 제품의 국내 유입을 사전에 차단할 예정입니다.
    • 특히, 화재·사고 위험이 높은 품목에 초점을 맞춰 조사가 이루어집니다.
  2. 국내 제품 4,700여 개 조사
    • 국내에서도 KC 인증을 받지 않은 불법 제품의 유통을 막기 위해 철저한 조사가 진행됩니다.
  3. 리콜 제품 관리 강화
    • 리콜 제품이 다시 유통되지 않도록 경찰,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리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입니다.

이번 조치, 여전히 논란의 여지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치가 지난해 규제안과 비슷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 소비자 선택권 제한 우려
    과거와 마찬가지로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제한은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업계의 반응
    국내 소상공인들은 물론이고, 해외직구 시장을 기반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개인 판매자들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대안 마련의 필요성
    소비자 안전을 강화하는 동시에, 선택권을 보장하고 업계의 반발을 줄일 수 있는 정책 설계가 필요합니다.

소비자 안전과 자유 사이에서

소비자 안전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하지만, 소비자의 선택권과 시장의 다양성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추진하며 소비자들과 업계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안전성과 자유를 모두 지킬 수 있는 균형 잡힌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